정치의 기억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그의 삶과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미래

미지의 방정식 2024. 12. 18. 02:58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1970년 11월 13일, 평화시장의 한 청년이 온몸에 불을 붙이며 남긴 외침은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역사를 바꿔놓았습니다. 그의 이름은 전태일이었고, 그의 죽음은 열악한 노동 환경과 비인간적인 대우에 대한 경종이자 노동자의 인권을 향한 절규였습니다.


1. 가난 속에서 시작된 삶

전태일 열사는 1948년 8월 26일, 대구 남산동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이라는 혼란한 시기에 가난한 가정 환경에서 자랐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그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없었고, 가족의 생계를 돕기 위해 신문 배달, 구두닦이 등 어린 나이에 노동을 시작해야만 했습니다.

전태일은 비록 가난했지만, 성실하고 공부를 좋아하는 아이였습니다. 배움에 대한 열정은 컸지만, 생계를 위해 학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현실 속에서도 그는 늘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꿈꾸었습니다.


2. 평화시장과 각성의 시작

1965년, 전태일은 서울 평화시장의 삼일사에 견습공으로 취직하며 본격적으로 재단사 일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노력과 성실함으로 빠르게 재단사로 인정받았지만, 그 과정에서 어린 여공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모습을 목격했습니다.

평화시장의 여공들은 하루 14~16시간을 일하면서도 기본적인 임금조차 제대로 받지 못했습니다. 어린 나이에도 고된 노동에 시달렸고, 무리한 근로로 인해 많은 노동자가 병들거나 쓰러졌습니다. 전태일은 이 비참한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습니다.

그는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근로기준법’이 이미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법은 글자에만 있을 뿐, 현장에서는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분노한 전태일은 스스로 노동법을 공부하며 “법이 있다면 왜 아무도 이들을 보호하지 않는가”라는 의문을 품기 시작했습니다.


3. ‘바보회’와 노동 환경 개선 운동

1969년, 전태일은 평화시장의 재단사들과 함께 ‘바보회’를 결성했습니다. ‘바보회’는 노동법을 공부하고, 노동 조건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해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는 노동청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고용주들에게 노동 조건 개선을 호소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사회와 기업은 전태일의 이러한 활동에 무관심하거나 반발했습니다. 고용주들은 전태일의 활동을 ‘불순한 의도’라며 그를 배척했고, 노동청은 진정서조차 외면했습니다. 전태일은 벽에 부딪히며 좌절했지만, 끝까지 희망을 놓지 않았습니다.


4. 마지막 선택: 불꽃이 된 청년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은 마지막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그는 ‘근로기준법’을 불태우며 자신의 몸에도 불을 붙였습니다. 그는 스스로 희생함으로써 사회에 노동자들의 처참한 현실을 알리고자 했습니다.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일요일은 쉬게 하라!”
이 외침은 그의 마지막 절규였고, 그 자리에서 그는 90% 이상의 화상을 입은 채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을 거두었습니다.

그가 남긴 수첩에는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과 현실을 바꾸려 했던 그의 고민과 고통이 빼곡히 적혀 있었습니다. 그는 마지막까지 노동자들의 인권과 존엄을 위해 살았고, 죽었습니다.


5. 전태일의 죽음이 남긴 변화

전태일 열사의 죽음은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노동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그의 희생은 이후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시민운동과 노조 결성의 흐름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그의 어머니인 이소선 여사는 아들의 뜻을 이어받아 ‘노동자의 어머니’로 불리며 노동운동에 앞장섰습니다. 청계피복노동조합의 결성 등 노동 환경 개선 운동에 헌신했고, 전태일 정신을 전파하는 데 평생을 바쳤습니다.

이후 노동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은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전태일의 정신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며, 그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남기고 있습니다.

영화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6. 결론: 지금도 계속되는 전태일 정신

전태일 열사의 희생은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닙니다. 그는 ‘인간답게 사는 세상’을 꿈꾸며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그의 정신은 여전히 우리에게 중요한 가치를 상기시키고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노동 환경은 많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비정규직 문제, 과로사, 열악한 근로 조건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전태일이 외쳤던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라는 메시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그의 불꽃 같은 희생을 기억하며,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전태일의 이름은 노동자의 권리와 인간다운 삶을 향한 끝없는 투쟁의 상징으로 남아있을 것입니다.